일상 대화나 문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기혼(旣婚)입니다. 특히 결혼 여부를 구분할 때 ‘기혼’과 ‘미혼’을 함께 쓰는데,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두면 사회생활에서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혼의 뜻과 관련 표현, 예문을 정리했습니다.
기혼 뜻
-
한자 풀이: 旣(이미 기) + 婚(혼인할 혼)
-
의미: 이미 결혼한 상태, 즉 혼인 절차를 마친 사람
예시:
-
“그는 기혼자로서 가정과 직장 모두에서 책임감이 강하다.”
-
“기혼 여성의 사회 진출이 점차 늘고 있다.”
기혼과 관련된 표현
표현 | 뜻 | 사용 예시 |
---|---|---|
기혼(旣婚) | 이미 결혼한 상태 | 기혼 남성, 기혼 여성 |
미혼(未婚) | 아직 결혼하지 않은 상태 | 미혼 청년, 미혼 여성 |
초혼(初婚) | 첫 번째 결혼 | 초혼 부부 |
재혼(再婚) | 두 번째 이후 결혼 | 재혼 가정 |
비혼(非婚) | 결혼하지 않겠다고 선택한 상태 | 비혼주의자 |
기혼의 특징
-
법적 의미: 혼인신고가 완료된 상태를 말하며, 사실혼 관계는 법적으로 ‘기혼’으로 분류되지 않음
-
사회적 의미: 결혼을 통해 가정을 이룬 사람을 지칭
자주 쓰이는 예문
-
“회사 내 기혼 직원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
“기혼 여부에 따라 세제 혜택이 달라진다.”
-
“그는 기혼으로 두 아이의 아버지이다.”
Q&A 섹션
Q1. 사실혼 관계도 기혼에 포함되나요?
A1.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기혼’으로 보지 않습니다.
Q2. 기혼과 유부남·유부녀는 같은 뜻인가요?
A2. 비슷하지만, ‘기혼’은 공식적인 문서 표현이고, ‘유부남·유부녀’는 일상적인 표현입니다.
Q3. 기혼 여부는 왜 자주 쓰이나요?
A3. 보험, 세금, 인사관리 등 사회·법적 제도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Q4. 기혼과 재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4. 기혼은 단순히 결혼한 상태이고, 재혼은 두 번째 이상의 결혼을 뜻합니다.
결론 및 CTA
‘기혼’은 단순히 이미 결혼한 상태를 의미하는 공식적인 표현입니다. 일상 대화뿐 아니라 문서, 행정 절차 등에서도 자주 쓰이므로, 미혼·비혼·재혼과 같은 유사 개념과 구분해 정확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