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나오는 수도요금 고지서를 보면 “도대체 이 요금은 어떻게 계산된 거지?”
궁금했던 적 있으시죠?
수도요금은 단순히 ‘물 사용량 × 단가’가 아니라, 누진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량이 많을수록 단가가 점점 올라갑니다.
오늘은 가정용 수도요금 계산방법, 그리고 아껴 쓰는 절약 팁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수도요금이란?
수도요금은 상수도 사업자가 공급하는 물(상수도)을 사용한 만큼 부과되는 비용입니다. 각 지자체(시·군·구)마다 단가가 다르며, 요금은 기본요금 + 사용요금 + 하수처리요금 + 물이용 부담금으로 구성됩니다.
수도요금 계산 공식
수도요금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수도요금 = 기본요금 + (사용량 × 단가) + 하수도요금 + 물이용부담금
단, 사용량 구간별 단가(누진제) 가 적용되기 때문에, 물 사용이 많아질수록 단가가 올라갑니다.
수도요금 계산 예시 (서울시 기준)
서울시 기준(2025년 기준 가정용 요금)을 예로 들어볼게요.
사용량(㎥) | 단가(원/㎥) | 구간 |
---|---|---|
1~30㎥ | 360원 | 기본 구간 |
31~50㎥ | 550원 | 2단계 |
51㎥ 이상 | 790원 | 3단계 |
또한 기본요금은 월 1,000~2,000원 수준이며, 하수도요금과 물이용부담금이 추가로 붙습니다.
예시 ①: 4인 가족이 한 달에 25㎥ 사용한 경우
-
기본요금 = 1,000원
-
사용요금 = 25㎥ × 360원 = 9,000원
-
하수도요금 = 25㎥ × 390원 = 9,750원
-
물이용부담금 = 25㎥ × 170원 = 4,250원
총 수도요금 = 1,000 + 9,000 + 9,750 + 4,250 = 24,000원 정도
예시 ②: 5인 가족이 한 달에 60㎥ 사용한 경우
구간 | 사용량 | 단가 | 금액 |
---|---|---|---|
1단계 | 30㎥ | 360원 | 10,800원 |
2단계 | 20㎥ | 550원 | 11,000원 |
3단계 | 10㎥ | 790원 | 7,900원 |
합계 | 60㎥ | 29,700원 |
→ 여기에 기본요금(1,000원) + 하수도요금(60㎥×390원=23,400원) + 물이용부담금(60㎥×170원=10,200원)을 더하면
총 수도요금 약 64,000원 수준이 됩니다.
지역별 수도요금 차이
수도요금은 전국 공통이 아닙니다. 각 지자체가 물 공급 원가, 하수도 운영비 등을 고려해 단가를 다르게 책정합니다.
예를 들어,
-
서울·부산: 평균 1㎥당 360~550원 수준
-
경기도 중소도시: 평균 1㎥당 400~600원 수준
-
농촌 지역: 상대적으로 낮지만 하수도요금 비율이 높음
따라서 정확한 요금은 해당 시청 또는 수도사업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 집 수도요금 직접 계산하는 방법
-
수도 계량기 확인
수도계량기에서 지난 달 지침과 이번 달 지침을 확인합니다.
이번 달 지침 – 지난 달 지침 = 사용량(㎥) -
사용량을 구간별로 나누기
사용량이 30㎥ 이하인지, 50㎥를 초과하는지 확인합니다. -
지자체 단가표 확인
각 구간별 단가를 확인하고 계산합니다. -
하수도요금·부담금 더하기
상수도요금 외에 하수도요금, 물이용부담금이 함께 청구됩니다. -
최종 합산
기본요금 + 사용요금 + 하수도요금 + 물이용부담금을 모두 합하면 총 수도요금이 계산됩니다.
수도요금 절약 팁
-
절수형 샤워기 사용
일반 샤워기보다 약 40% 이상 절수 효과가 있습니다. -
빨래는 모아서 세탁하기
세탁기 1회 사용량은 평균 60~80ℓ로, 여러 번 돌리면 물 낭비가 큽니다. -
설거지 시 물 틀어놓지 않기
흐르는 물 대신, 한 번 받은 물로 헹구면 물 사용량이 절반 이하로 줄어듭니다. -
변기 물 내릴 때 절수형 버튼 사용
1회 절수로 연간 2~3만 원 절약 효과가 있습니다.
수도요금 자동계산기 활용
각 시청 또는 수도사업소 홈페이지에 수도요금 자동 계산기 기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서울: 서울물연구원 ‘아리수 수도요금 계산기’
-
부산: 상수도사업본부 수도요금 계산기
-
경기: 각 시청 홈페이지 내 ‘요금 계산 서비스’
👉 자신의 지역을 선택하고 사용량(㎥) 만 입력하면 정확한 요금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수도요금은 몇 달 단위로 부과되나요?
대부분의 지역은 2개월 단위로 검침 및 고지서가 발송됩니다.
Q2. 사용량이 갑자기 늘었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변기 누수, 수도꼭지 틈새 누수 등 작은 물샘도 장기적으로 요금 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Q3. 상수도요금과 하수도요금은 왜 따로 있나요?
상수도요금은 공급받는 물값, 하수도요금은 사용한 물을 정화해 방류하는 비용입니다.
Q4. 물이용부담금은 무엇인가요?
하천 수질 보호를 위해 환경부가 부과하는 환경개선 기금입니다. 모든 수도요금에 일정 비율로 포함됩니다.
Q5. 수도요금 감면 제도가 있나요?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다자녀 가구, 사회복지시설 등은 지자체별로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해당 시청 복지과 또는 수도사업소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수도요금은 단순히 “얼마 나왔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집 생활습관을 돌아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누진 단가가 적용되므로, 작은 절수 습관이 장기적으로 큰 절약 효과를 가져옵니다.
매달 고지서가 궁금하다면, 이번 글의 계산법으로 직접 확인해보세요. 생활비 절감의 시작은 ‘물 한 방울 아끼기’에서 출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