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나 조직에서 근무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바로 직급입니다. 하지만 직급과 직책을 혼동하거나, 정확한 순서를 잘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급의 뜻과 일반적인 직급 순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직급 뜻
-
직급(職級)이란?
‘직무(職務)’와 ‘계급(階級)’이 합쳐진 말로, 회사·기관 등에서 개인의 지위와 서열을 나타내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조직 내에서 나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직급 vs 직책
-
직급 : 조직 내의 서열(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
-
직책 : 맡은 역할(팀장, 본부장, 대표 등)
→ 예를 들어, "과장(직급)이지만 팀장(직책)을 맡고 있다"라는 식으로 구분됩니다.
-
일반적인 직급 순서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한국 기업에서 흔히 사용하는 직급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원(Staff)
-
입사 후 처음 시작하는 단계.
-
주어진 업무를 배우고 수행하는 신입~초급 직급.
-
-
주임 / 대리(Assistant Manager)
-
일정 경력을 쌓은 뒤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계.
-
대리는 ‘대신 책임진다’는 의미로, 과장이나 팀장을 보좌하는 역할.
-
-
과장(Manager)
-
실무와 관리 업무를 동시에 담당.
-
팀 단위 업무를 책임지고, 후배들을 지도하는 핵심 직급.
-
-
차장(Deputy General Manager)
-
부장을 보좌하면서 중간 관리자 역할 수행.
-
경영진과 실무진 사이를 연결하는 허리 역할.
-
-
부장(General Manager)
-
부서 전체를 책임지는 관리자.
-
전략적 의사결정을 담당하며, 조직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직급.
-
-
임원진(Executive)
-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 부회장, 회장 등으로 세분화.
-
회사의 운영과 경영을 총괄하는 최고 의사결정 단계.
-
직급 체계 예시 (일반 기업 기준)
사원 → 주임/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이사(임원)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Q&A 자주 묻는 질문
Q1. 직급과 호칭은 꼭 일치하나요?
아닙니다. 직급은 조직에서 정한 서열이고, 호칭은 부르는 방식입니다. 어떤 회사는 "매니저, 파트너" 같은 직급 명칭을 쓰기도 합니다.
Q2. 스타트업에도 직급이 있나요?
스타트업은 수평적 문화를 강조하기 때문에 직급 대신 직책(예: 팀장, 리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3. 직급이 높으면 무조건 직책도 높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차장이지만 팀장을 맡지 않을 수도 있고, 과장이지만 중요한 프로젝트 리더를 맡을 수도 있습니다.
Q4. 직급 승진은 평균 몇 년마다 이루어지나요?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사원 → 대리 3~4년, 대리 → 과장 3~5년, 과장 → 차장 4~5년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마무리 – 직급은 회사 내 위치, 직책은 역할
정리하면, 직급은 회사 안에서 내 위치를 나타내는 단계이며, 직책은 내가 맡은 역할입니다.
직급 체계를 이해하면 회사 내 커리어 발전 방향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회사를 다니며 직급을 쌓아가는 것은 단순히 서열 상승이 아니라 전문성과 책임감을 키워가는 과정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